맨위로가기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진행되었다. FIFA 랭킹에 따라 상위 5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직행하고, 6, 7위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했으며, 나머지는 1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예선은 1차, 2차, 최종 예선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예선에서 상위 2개 팀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중국이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가시스미요시구의 역사 - 히라노구
    히라노구는 일본 오사카시를 구성하는 구 중 하나로, 우에마치 대지 남쪽에 위치하며 야마토강이 흐르고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달했으며, 히라노라는 지명은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은 카타르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대회로, 예선을 거쳐 선발된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여 일본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본선 진출팀들의 예선 경과, 경기 결과, 그리고 B조 순위 결정 논란 등이 주요 내용을 이룬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15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선수들이 참가한 2015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체코에서 개최되어 스웨덴이 우승했으며,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여 덴마크, 독일, 포르투갈, 스웨덴이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올림픽 본선 진출국을 가리는 토너먼트로서,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최종 예선에서 1, 2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이란은 히잡 착용 문제로 기권 처리되는 논란이 있었다.
  •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일본이 조 1위로, 대한민국이 각 조 2위 팀 간 순위 결정 방식을 통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며, 결선 토너먼트에서 중국이 우승하며 일본과 함께 아테네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연도2016년
개최국미얀마 (1차 라운드 A조 및 2차 라운드)
요르단 (1차 라운드 B조)
대만 (1차 라운드 C조)
일본 (최종 라운드)
기간2015년 3월 11일 – 2016년 3월 9일
참가 팀 수18
연맹1
경기 수37
총 득점128
이전 시즌2012년
다음 시즌2020년
결과
우승오스트레일리아
준우승중국
3위일본
4위대한민국
올림픽 진출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득점
최다 득점자킨 모에 와이 (미얀마, 9골)
관중
총 관중52,953

2. 참가 팀

FIFA 여자 랭킹에 따라 상위 5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직행했고, 6위와 7위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했으며, 나머지 팀들은 1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 class="wikitable"

|-

! 최종 예선 직행 팀 !! 2차 예선 직행 팀 !! 1차 예선 참가 팀

|-

|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 태국, 베트남

|



|}

2. 1. 최종 예선 직행 팀

FIFA 여자 랭킹이 가장 높은 5개 팀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은 최종 예선에 직행한다.

최종 예선에 직행하는 팀


2. 2. 2차 예선 직행 팀

FIFA 여자 랭킹 6위, 7위 팀인 태국, 베트남은 2차 예선에 직행한다.

2차 예선에 직행하는 팀
태국
베트남


2. 3. 1차 예선 참가 팀

FIFA 여자 랭킹이 가장 높은 5개 팀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은 최종 예선에 직행하며, 6위, 7위 팀인 태국, 베트남은 2차 예선에 직행한다. 나머지 팀들은 1차 예선부터 참가한다.

{| class="wikitable"

|-

! 1차 예선 참가팀

|-

|



|}

3. 예선 방식

총 18개의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원국 대표팀이 예선에 참가했다. 예선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4][5][8]


  • '''1차 예선''': FIFA 여자 랭킹 상위 7개 팀은 자동 진출했다. 상위 5개 팀인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대한민국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고, 6위와 7위 팀인 태국베트남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11개 팀은 FIFA 랭킹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아 4개 팀 2개 조, 3개 팀 1개 조로 나뉘어 중립 지역에서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 팀(총 3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 '''2차 예선''': 2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2개 팀과 1차 예선을 통과한 3개 팀, 총 5개 팀이 중립 지역에서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최종 예선에 자동 진출한 5개 팀과 2차 예선을 통과한 1개 팀, 총 6개 팀이 중립 지역에서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상위 2개 팀이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 조 추첨은 2014년 12월 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AFC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

최종 예선
진출팀
2차 예선
진출팀
1차 예선 진출팀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valign=top|valign=top|valign=top|valign=top|valign=top|valign=top|



라운드날짜
1차 라운드2015년 3월 11일–15일 (A조 및 B조)
2015년 3월 20일–24일 (C조)
2차 라운드2015년 9월 14일–22일
최종 라운드2016년 2월 29일 – 3월 9일


4. 1차 예선

2015년 3월 20일 – 3월 24일 (C조)2차 예선2015년 9월 14일 – 9월 22일최종 예선2016년 2월 29일 – 3월 9일

4. 1. A조

1차 예선 A조의 모든 경기는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열렸다. 바레인이 기권하여 3개 팀으로 진행되었다.

승점경기
မြန်မာ|미얀마my62200230+23
भारत|인도hi3210147-3
ශ්‍රී ලංකා|스리랑카si02002020-20
البحرين‎|바레인ar기권


မြန်မာ|미얀마my는 2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경기 결과

;ශ්‍රී ලංකා|스리랑카si 0 – 16 မြန်မာ|미얀마my

မြန်မာ|미얀마my가 스리랑카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भारत|인도hi 4 – 0 ශ්‍රී ලංකා|스리랑카si

인도가 스리랑카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မြန်မာ|미얀마my 7 – 0 भारत|인도hi

မြန်မာ|미얀마my가 인도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4. 2. B조

1차 예선 B조의 모든 경기는 요르단 암만에서 열렸다. 요르단이 3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승점경기
요르단9330090+9
우즈베키스탄6320172+5
홍콩1301224-2
팔레스타인13012214-12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UTC+2영어 기준)

경기 결과
2015년 3월 11일
우즈베키스탄 6 - 0 팔레스타인 (페트라 경기장)
요르단 1 - 0 홍콩 (페트라 경기장)
2015년 3월 13일
홍콩 0 - 1 우즈베키스탄 (페트라 경기장)
팔레스타인 0 - 6 요르단 (페트라 경기장)
2015년 3월 15일
홍콩 2 - 2 팔레스타인 (페트라 경기장)
우즈베키스탄 0 - 2 요르단 (페트라 경기장)


4. 3. C조

1차 예선 C조의 모든 경기는 중화 타이베이 타이베이에서 열렸다. 중화 타이베이가 2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승점경기
style="text-align:left;"|6220050+5
style="text-align:left;"|3210152+3
style="text-align:left;"|0200219-8



; 경기 결과

5. 2차 예선

2차 예선은 2015년 9월 14일부터 9월 22일까지 미얀마에서 개최되었다.UTC+6:30영어 5개 팀이 참가하여 1개 조로 리그전을 진행한 결과, 베트남이 3승 1패를 기록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1베트남430184+4
2중화 타이베이421153+2
3태국4211330
4미얀마420287+1
5요르단400418-7



날짜시간팀 1결과팀 2경기장관중 수
2015년 9월 14일15:30중화 타이베이1 - 0베트남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475명
2015년 9월 14일18:30요르단0 - 2미얀마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3,894명
2015년 9월 16일15:30요르단0 - 3중화 타이베이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736명
2015년 9월 16일18:30미얀마1 - 2태국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22,050명
2015년 9월 18일15:30태국1 - 0요르단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340명
2015년 9월 18일18:30베트남4 - 2미얀마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7,485명
2015년 9월 20일15:30베트남2 - 1요르단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115명
2015년 9월 20일18:30중화 타이베이0 - 0태국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216명
2015년 9월 22일15:30태국0 - 2베트남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276명
2015년 9월 22일18:30미얀마3 - 1중화 타이베이만달라 티리 스타디움 (만달레이)1,426명


6. 최종 예선

2016년 2월 29일부터 3월 9일까지 일본 오사카부에서 최종 예선이 개최되었다.[9][10] 경기장은 나가이 육상 경기장 (얀마 스타디움 나가이)와 나가이 구기장 (킨초 스타디움)이 사용되었으며, 일본 경기는 모두 나가이 구기장에서 열렸다.

최종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득점실점골득실승점
1410173+1413
232073+411
3212107+37
412265+15
512245-15
6005122-210



오스트레일리아(4승 1무)와 중국(3승 2무)이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일본은 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대한민국은 1승 2무 2패로 4위를 기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에서 뒤져 아쉽게 탈락했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둔 것은 주목할 만하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시간팀 1결과팀 2경기장
2016년 2월 29일16:352 - 0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2월 29일19:351 - 1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2월 29일19:393 - 1킨초 스타디움
2016년 3월 2일16:359 - 0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2일19:351 - 1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2일19:391 - 1킨초 스타디움
2016년 3월 4일16:350 - 1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4일19:350 - 2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4일19:391 - 2킨초 스타디움
2016년 3월 7일16:351 - 0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7일19:351 - 2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7일19:391 - 6킨초 스타디움
2016년 3월 9일16:354 - 0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9일19:391 - 1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2016년 3월 9일19:391 - 0킨초 스타디움


참조

[1]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 – GAMES OF THE XXXI OLYMPIAD – RIO 2016 – Football http://www.rio2016.c[...] Rio 2016 Official Website 2015-01-22
[2] 웹사이트 Australia and China book Olympic spots https://www.fifa.com[...] FIFA.com 2016-03-07
[3] 웹사이트 Groups drawn for First Round of Rio 2016 Women's Qualifiers http://www.the-afc.c[...] 2014-12-04
[4] 웹사이트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5 http://www.the-afc.c[...] AFC
[5] 웹사이트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6 http://www.the-afc.c[...] AFC
[6] 웹사이트 Football – Women's AFC Olympic Qualifying Tournament http://corporate.oly[...] Australian Olympic Committee 2015-07-28
[7] 웹사이트 女子サッカー アジア最終予選(リオデジャネイロ オリンピック2016 http://www.jfa.jp/na[...] Japan Football Association
[8] 웹사이트 Groups drawn for first round of Rio 2016 women's qualifiers {{!}} AFC https://web.archive.[...] 2017-08-31
[9] 웹사이트 女子サッカーのリオ五輪アジア最終予選、開催地が大阪に決定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5-07-16
[10] 웹사이트 Australian Olympic Committee: Football - Women's AFC Olympic Qualifying Tournament https://web.archive.[...] 2018-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